취약점 진단

취약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DVWA) SQL Injection 취약점 진단

이 도구를 이용하여 허용받지 않은 서비스 대상으로 해킹을 시도하는 행위는 범죄 행위 입니다. 해킹을 시도할 때에 발생하는 법적인 책임은 그것을 행한 사용자에게 있다는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SQL Injection 취약점은 웹 애플리케이션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 내부의 정보를 유출하는 취약점입니다. 공격자는 데이터베이스 쿼리에 임의의 SQL 쿼리를 삽입함으로써 공격이 이루어 집니다. SQL Injection 취약점 진단의 화면 입니다. 아래 링크에서 SQL Injection 설명을 보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SQL Injection에 웹 소스코디 입니다. GET 메소드로 입력한 id 값을 저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Low레벨의 소스코드를 보시면 쿼리문에서 ID를 입력했을때 users..

Code::Security/DVWA 2018.08.03

취약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DVWA) File Upload 취약점 진단

이 도구를 이용하여 허용받지 않은 서비스 대상으로 해킹을 시도하는 행위는 범죄 행위 입니다. 해킹을 시도할 때에 발생하는 법적인 책임은 그것을 행한 사용자에게 있다는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File Upload 취약점은 파일을 첨부할 수 있는 게시판 등에서 악성 스크립트 파일을 웹 서버에 업로드하여 웹쉘 등을 실행 시킬수 있는 취약점입니다. 해당화면은 File Upload 취약점 진단항목의 화면이며, 간단하게 파일을 업로드 할수 있게 화면이 이루어져 있습니다. 해당 진단항목 역시 링크를 타고 들어 가시면 File Upload 취약점에 대한 정보를 보실수 있습니다. Low레벨의 소스코드를 보시면 업로드 파일에 대한 검증없이 모든 파일에 대하여 업로드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그럼 간단하게 파일을 업로드 해..

Code::Security/DVWA 2018.08.01

취약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DVWA) Brute Force 취약점 진단

이 도구를 이용하여 허용받지 않은 서비스 대상으로 해킹을 시도하는 행위는 범죄 행위 입니다. 해킹을 시도할 때에 발생하는 법적인 책임은 그것을 행한 사용자에게 있다는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이번에는 DVWA 환경의 Brute Force 항목을 진단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Brute Force는 무차별 대입 공격을 의미 하고 있으며, 무차별 대입 공격은 공격자가 계정 암호 값에 입력할 수 있는 모든 값을 대입하여 암호를 알아내는 공격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로그인 기능이 있는 웹 페이지는 공격자의 무차별 대입 공격에 의해 쉽게 크랙될 수 있으며, 로그인 페이지 이외에도 많은 곳에서 무차별 대입 공격을 할수 있습니다. 만약 웹 페이지의 인증이나 횟수 제한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무차별 대입 공격으로 쉽게 ..

Code::Security/DVWA 2018.07.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