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SQLiteManager 1.2.4 XSS 취약점 (CVE-2012-5105)

허용받지 않은 서비스 대상으로 해킹을 시도하는 행위는 범죄 행위입니다. 해킹을 시도할 때에 발생하는 법적인 책임은 그것을 행한 사용자에게 있다는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CVE-ID CVE-2012-5105 개요 - SQLiteManager 1.2.4 XSS 취약점 발견 CVE를 살펴보면 2012년도에 나온 취약점 인걸 알 수 있고, 설명을 보면 SQLiteManager 1.2.4의 다중 사이트 간 스크립팅(XSS) 취약점으로 인해 원격 공격자가 dbsel 매개변수를 통해 (1) main.php 또는 (2) index.php에 임의의 웹 스크립트 또는 HTML을 삽입할 수 있습니다. 또는 (3) index.php에 대한 nsextt 매개변수.라고 나와 있습니다. 즉 SQLiteManager 1.2.4 ..

비박스(bWAPP) A3 Cross-Site Scripting(XSS)

이 도구를 이용하여 허용받지 않은 서비스 대상으로 해킹을 시도하는 행위는 범죄 행위입니다. 해킹을 시도할 때에 발생하는 법적인 책임은 그것을 행한 사용자에게 있다는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A3 - Cross-Site Scripting(XSS) 크로스 사이트 스트립팅(XSS) 취약점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많이 나타나는 취약점의 하나로, 웹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값을 제대로 검사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 나타납니다. 공격자는 악의적인 스크립트 코드를 입력하여 사용자의 정보(쿠키, 세션 등)를 탈취하거나, 악의적인 사이트로 이동, 악성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크로스사이트 스크립팅(XSS)은 공격유형에 따라 반사된 XSS(Reflect XSS)와 저장된 XSS(Stored XSS), ..

취약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DVWA) XSS(DOM) 취약점 진단

이 도구를 이용하여 허용받지 않은 서비스 대상으로 해킹을 시도하는 행위는 범죄 행위 입니다. 해킹을 시도할 때에 발생하는 법적인 책임은 그것을 행한 사용자에게 있다는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XSS(Cross-site Scripting)는 웹 상에서 가장 기초적인 취약점 공격 방법 입니다.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XSS)은 애플리케이션에서 브라우저로 전송하는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데이터를 검증하기 않거나, 출력 시 위험 데이터를 무효화 시키지 않을 때 발생하게 됩니다. 공격자는 의도적으로 브라우저에서 실행될 수 있는 악성 스크립트를 웹 서버에 입력 또는 출력 될수 있게 공격을 할수 있습니다. XSS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 방법은 크게 3가지로 분류됩니다. 1. XSS(Stored) - 저장 XSS..

Code::Security/DVWA 2018.08.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