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용받지 않은 서비스 대상으로 해킹을 시도하는 행위는 범죄 행위입니다. 해킹을 시도할 때에 발생하는 법적인 책임은 그것을 행한 사용자에게 있다는 것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명령 프롬프트(실행 파일 이름: cmd.exe)는 윈도우기반 시스템의 명령어 인터프리터입니다.
CMD는 Command의 약어이며 Windows에 명령 프롬프트(Command Prompt)를 시작하도록 요청하는 짧은 방법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Windows 10 에서는 전체 이름을 입력하는 대신 검색 또는 실행 창 을 사용하여 cmd를 찾고 명령 프롬프트(Command Prompt)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CMD 명령어를 알아 보기 전에 CMD 창에서 help를 입력하면 기본 명령어들을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저의 기준으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들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동 완성
cmd에서는 파일명이나 디렉터리명의 자동 완성 기능이 있습니다. 키보드의 TAB 키를 눌러서 사용합니다.
1. dir (Directory)
- dir 명령은 경로의 폴더 및 파일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dir 명령어의 설명과 사용옵션을 보려면 dir/? 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2. cd (Change Directory)
- cd 명령은 현재 디렉터리를 보여주거나 원하는 디렉터리로 이동합니다.
- cd 명령어의 설명과 사용 옵션을 보려면 cd/? 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3. cls (clear)
- cls 명령은 화면을 지웁니다. 화면에 출력된 내용이 많아서 화면 내용을 깨끗하게 정리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4. ipconfig
- ipconfig 명령은 현재 사용자 컴퓨터의 네트워크 설정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IP 정보, 게이트웨이 정보, DNS 등)
- ipconfig 명령어의 설명과 사용옵션을 보려면 ipconfig/? 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5. ping (Packet Internet Groper)
- ping 명령은 컴퓨터 네트워크 상태를 점검, 진단할 때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 ping 명령어의 설명과 사용 옵션을 보려면 ping/? 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6. nslookup (name server lookup)
- nslookup 명령은 도메인 네임을 얻거나 IP 주소 매핑 또는 다른 특정한 DNS 레코드를 도메인 네임 시스템에 질의할 때 사용됩니다.
- nslookup 명령은 set type 옵션을 통해서도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nslookup 명령어의 설명과 사용 옵션을 보려면 nslookup/? 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7. tracert
- tracert 명령은 인터넷을 통해 거친 경로를 표시하고 그 구간의 정보를 기록하고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의 전송 지연을 측정하기 위해 주로 사용됩니다. (경로 추적)
- tracert 명령어의 설명과 사용 옵션을 보려면 tracert/? 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8.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ARP 명령은 IP주소에 대한 MAC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RP Table은 일종의 캐시 테이블로써 자신이 속한 서브넷 마스크 영역(브로드캐스트 영역 or 하나의 라우터를 거치기 전 로컬 영역)에 있는 호스트 혹은 라우터들의 IP 주소와 MAC 주소가 적혀 있습니다.
- arp 명령어의 설명과 사용 옵션을 보려면 arp/? 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9. netstat (network statistics)
- netstat 명령은 전송 제어 프로토콜, 라우팅 테이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네트워크 프로토콜 통계를 보여줍니다.
- 네트워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주로 사용됩니다.
- netstat 명령어의 설명과 사용 옵션을 보려면 netstat/? 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10. tasklist
- tasklist 명령은 현재 실행 중인 로컬 컴퓨터 프로세스들을 모두 표시하여 줍니다.
- tasklist 명령어의 설명과 사용 옵션을 보려면 tasklist/? 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Code::Security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NMAP 사용법 및 Nmap 스크립트 엔진 사용법 정리 (0) | 2022.09.06 |
---|---|
2021 OWASP TOP10 (0) | 2022.09.05 |
공개 도구를 이용한 홈페이지 취약점 점검 안내서 (0) | 2021.06.17 |
XSS 기본 태그 사용법 정리 (0) | 2021.06.17 |
SQL MAP 사용법 정리 (0) | 2021.06.17 |